주부로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남편의 직장 건강보험에서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과 자격상실 탈락 기준은 복잡하고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어서 쉽게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과 자격상실 탈락 기준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 주요 궁금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은 소득과 재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득의 합계액인 ‘종합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넘지 않아야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됩니다. 종합소득은 금융ㆍ사업ㆍ근로소득 등을 합하는데, 양도소득과 퇴직소득은 제외합니다. 1000만 원 이하 금융소득은 건강보험 기준에서 소득에 합산하지 않습니다
다른 소득이 없는 사람은 근로소득이 연 2000만 원을 넘지 않으면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됩니다. 여기서 근로소득 금액은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빼서 구합니다. 세전 총급여액으로 연 2970만 원 정도입니다 총급여액이란 일하고 받는 급여 (식대‧자가운전보조금 등 비과세 소득 제외)를 모두 더한 세전 금액을 뜻합니다
아르바이트 급여를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으로 받는다면 계산은 달라집니다. 급여에서 세금 3.3%를 떼고 받는다면 프리랜서 형태로 계약해 사업소득을 받는다고 보면 됩니다. 사업소득은 총수입 금액에서 필요경비를 뺀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총수입이 1000만 원이더라도 필요경비가 950만 원이었다면 사업소득 금액은 50만 원입니다 필요경비율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바로가기
사업자 등록이 없다면 사업소득이 연 500만 원 이하여야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됩니다. 단 부동산업 주택임대소득이 없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이 있는 사람은 사업소득이 1원이라도 발생 시 피부양자에서 탈락해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이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재산이 많거나 금융소득이 높으면 피부양자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주택 등 재산이 ‘과세표준’ 액 기준 5억 4000만 원 이하인 사람은 연 소득이 2000만 원 이하면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됩니다. 그러나 과세표준액이 5억 4000만 원에서 9억 원 사이면 연 소득 1000만 원 이내로 소득 기준 문턱이 높아집니다
재산 과세표준이 9억 원을 넘으면 피부양자에서 탈락합니다. 여기서 과세표준이란 공시가격에 공정시장 가액비율 (주택 60%, 기타 70%)을 곱한 값입니다. 예컨대 공시가격 15억 원인 아파트를 부부가 지분율 50% 대 50%로 공동소유했을 때 아내의 과세표준은 4억 5000만 원 (15억 원 X60% X50%)입니다. 아내의 소득이 2000만원을 넘지 않는다면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된다는 의미입니다
자격상실 탈락기준
소득및 재산의 종류 | 자격상실탈락기준 | 신고기한 | 비고 |
근로소득 | 총급여액연간2970만원이상 | 소득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일용근로소득제외 |
사업소득 | 총수입금액에서필요경비를 뺀금액이연간 500만원이상 | 소득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사업자등록이있는경우1원이라도 발생시탈락 |
금융소득 | 총수임금액이 연간1000만원초과 | 소득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1000만원이하금융소득은 합산하지않음 |
양도소득 | 총수임금액이 연간1000만원초과 | 소득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
퇴직소득 | 총수임금액이 연간1000만원초과 | 재산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
주택등재산 | 과세표준액이5억4천만원초과 | 재산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공시가격에공전시장가액 비율을 곱한값 |
주식등 금융자산 | 과세표준액이5억4천만원초과 | 재산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
상속이나증여 | 과세표준액이5억4천만원초과 | 재산변화발생일로부터30일이내 | |
신고는 건강보험홈페이지나콜센터(1577- 1000)을 통해 할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 배우자공제
근로소득 외 다른 소득이 있다면 종합신고금액 합계액이연 100만 원 이하여야 하고 근로소득만 있는 사람은 예외적으로 근로소득금액 150만 원(연간총급여액 500만 원)까지 배우자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용근로소득을 받는 아르바이트는 얼마를 벌든 배우자공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상으로 주부아르바이트소득 얼마까지면 남편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을까?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먼저는 어려운 용어부터 이해하는 것이필요하고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아르바이트계획을 세우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서울 머니쇼일정 ,놓치지말아야 할 중요부스 5가지 알아보기 (0) | 2023.05.11 |
---|---|
전월세신고 과태료 대상, 신청방법알아보기 (0) | 2023.05.10 |
구글'바드" VS MS '빙' 검색비교해보기! (0) | 2023.04.30 |
노을과 야경을 보고 숙박하면 5만원 할인 받는 도시는? (1) | 2023.04.29 |
어린이날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행사3가지 추천! (2) | 2023.04.28 |
댓글